본문 바로가기

대기업 가격 단합/대기업( 중소기업착취)

[오늘의 세상] 포스코 사외이사, 年 7차례 회의에 연봉은 1억4000만원

[오늘의 세상] 포스코 사외이사, 年 7차례 회의에 연봉은 1억4000만원

  • 김기홍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김정훈 기자

    입력 : 2013.03.02 03:06

    [사외이사 거액 보수 논란… 60여개 주요 상장사 분석]
    포스코 사외이사 7인, 작년 상정된 35건 모조리 찬성·통과
    포스코 "3년 이상 재직 이사들에 성과급 지급해 보수 늘어"
    삼성전자, 4명에게 1인당 8800만원… 전년보다 46% 급증
    공직자·교수 출신이 80% 넘어… 금융지주사서 권한 막강

    주요 대기업이 지난해 사외이사들에게 지급한 보수를 큰 폭으로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스코는 지난해 사외이사에게 전체 근로자 평균 연봉의 5배를 웃도는 억대 보수를 지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사회 1번에 2000만원꼴

    본지가 지난달 28일까지 주주총회 소집을 공고한 시가총액 상위 60여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포스코는 지난해 사외이사에게 1억원이 넘는 보수를 지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억대 보수는 포스코가 유일했다. 포스코 사외이사 7명이 받은 보수는 1인당 평균 1억4370만원이었다. 이는 포스코 직원 평균 연봉(2011년 기준 6500만원)의 2배를 넘는 액수다. 국세청이 집계해 발표한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 평균 연봉(2011년 기준 2817만원)과 비교하면 5배를 웃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스냅샷으로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조선닷컴

    포스코는 지난해 이사회를 7차례 개최했다. 이사회 1회당 2050만원의 보수를 받은 셈이다. 포스코는 "지난해엔 3년 이상 재직한 5명의 사외이사에게 장기 인센티브(성과급)를 지급해 평균 보수가 늘어났다"면서 "올해부턴 사외이사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가 없어지기 때문에 보수가 다시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사외이사는 명망가가 많아 최소한의 예우는 필요하지만 포스코의 보수는 상식을 뛰어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정준양 회장은 사외이사들과 정기적으로 골프를 치는 등 사외이사를 각별하게 챙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스코에 이어 보수가 많은 기업은 의류업체인 영원무역이었다. 2명의 사외이사에게 1인당 9300만원을 지급했다.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 계열사의 사외이사 보수도 높은 수준이었다. 삼성 계열사는 지난해 사외이사 보수를 크게 늘렸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이사회를 11차례 개최하고, 4명의 사외이사에게 전년에 비해 46% 늘어난 8800만원의 보수를 지급했다. 삼성전기·삼성물산·삼성중공업 등도 20% 가까이 늘려 8000만원 안팎의 보수를 지급했다. KT는 전년에 비해 소폭 줄어든 6800만원을 지급했다.

    "오너 없는 금융지주 사외이사 막강"

    대기업 사외이사로 임명되면 보수 외에 다양한 혜택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사회에 참석할 때마다 50만~100만원의 거마비를 받고, 임원용 차량을 수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국내 금융지주사는 '사외이사의 낙원'이라고 불릴 정도다. 확실한 오너나 뚜렷한 대주주가 없기 때문에 최고경영자가 사외이사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사외이사의 권한이 가장 막강한 곳은 KB지주로 알려져 있다. KB지주는 2011년 사외이사 9명에게 평균 6760만원의 보수를 주었다. 건강검진비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이사회 의장을 맡은 사외이사에겐 월 200만원 정도의 활동비도 별도로 준다.

    신한·하나·우리지주도 사정은 비슷하다. 금융지주가 이처럼 사외이사를 극진히 모시는 것은 사외이사가 차기 회장 후보 추천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사외이사들이 술집에 모여앉아 지주사 회장을 불러내 술값을 내라고 요구하는 모습을 보고 기가 막힌 적이 있다"고 말했다.

    "방패막이·거수기 역할" 비판도

    대기업 사외이사는 전관(前官)이라 불리는 고위 공직자 출신이 대부분이다. 10대 그룹 40개 계열사가 지난달 28일까지 사외이사 후보자로 추천한 73명 가운데 장·차관·국장 등 공직자 출신이 31명(42.5%)에 달했다. 현직 교수도 29명으로 40%에 육박했다. 대기업에 대한 감시·견제 여론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검찰 조사나 국세청 세무조사 등에 대비한 '보험용'으로 전관을 경쟁적으로 영입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높은 보수에 비해 사외이사의 경영 감시 활동은 눈에 띄는 것이 없다. 실제로 포스코 사외이사 7명은 지난해 이사회에 상정된 35건의 안건을 모두 찬성 통과(수정 찬성 4건 포함)시켰다. 삼성전자 사외이사도 지난해 47건의 안건에 모조리 찬성표를 던졌고, 현대자동차도 32건의 안건 처리 과정에서 반대표가 전혀 없었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사외이사가 로비스트나 방패막이 역할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소액주주가 사외이사를 직접 뽑는 방안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