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3.02.15 02:59
탐지 어려운 잠수함에서 발사돼 위협적 전략무기
美·영·러·중 등 극소수 국가만이 개발 또는 보유
아직은 北이동식미사일까지
타격하지는 못해

지난해 공개된 현무-3 순항미사일이 지상에서 발사돼 지상 목표물을 공격하는 지대지(地對地) 미사일인 데 비해 이날 공개된 미사일은 함정이나 잠수함에서 발사된다. 사정거리는 최대 1000㎞로, 북한 전역을 사정권에 넣는다.
특히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잠대지 순항미사일은 탐지하기 어려운 잠수함의 장점을 살려 북한 동해안 원산이나 서해안 남포 인근까지 접근해 북한지휘부 등을 공격할 수 있는 전략무기다. 세계적으로도 미국(토마호크), 영국(토마호크), 러시아(클럽-S), 프랑스(스칼프 나발), 중국, 인도 등 극소수 국가만이 개발했거나 보유하고 있다.
'해성-2·3' 미사일은 창문 크기(1~3m)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도가 뛰어나고, 축구장 1개 면적을 초토화할 수 있는 위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잠대지 미사일은 해군 신형 잠수함인 214급 잠수함에서, 함대지 미사일은 4500t급 한국형 구축함이나 7600t급 이지스 구축함에서 각각 발사된다.
잠대지 미사일 속도는 음속 이하여서 최대 1000㎞를 비행하는 데 20여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美는 태평양서 탄도미사일 요격시험 - 12일(현지 시각) 태평양 해상의 미국 이지스 순양함 레이크 이리호에서 SM-3 블록 1A 유도미사일이 발사되는 모습. 미 국방부는 이날 미사일 방어국(MDA)과 해군이 태평양에서 탄도미사일 요격 시험을 진행해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태평양 상의 레이크 이리호는 하와이 카우아이섬 미사일 기지에서 발사돼 태평양 북서쪽으로 날아가는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감지해 유도미사일로 요격하는 데 성공했다. 이지스 탄도미사일 방어 프로그램을 위한 이 같은 요격 실험은 2002년부터 총 30차례 시행됐으며, 이번 실험으로 24번째 성공했다. /AP 뉴시스

함대지 순항미사일은 함정의 한국형 수직발사관에서 발사된다.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에는 32발의 '해성-2' 순항미사일이 탑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유영조 전력정책관(육군 소장)은 "함대지 및 잠대지 미사일은 3면이 바다인 한반도 작전 환경에서 더욱 유용한 타격 자산(수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 순항미사일은 지휘소, 공군기지 등 고정 목표물만 타격할 수 있다. 움직이는 북한 탄도미사일의 이동식 발사대 같은 이동 목표물을 때릴 능력은 없다. 순항미사일이 이동 중인 목표물을 때릴 수 있으려면 북한의 이동식 발사대를 계속 추적 감시하고, 이 정보를 실시간(實時間)으로 비행 중인 순항미사일에 전달해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무인정찰기(UAV) 등 많은 정찰 수단과, 북 미사일 발사대 이동 정보를 데이터 링크를 통해 순항미사일에 전해주는 군용(軍用) 통신위성 등 방대한 첨단 네트워크 체계가 구축돼야 하지만 우리 군에는 아직 그런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국방부3 > 국방부(육,해,공,해병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軍 국산 미사일 '해성', 北 지휘부 향해 쏘는 순간 (0) | 2013.02.21 |
---|---|
['北核 그늘' 아래 한국] 中, 美 전술핵 재배치보다 MD체제를 더 두려워한다는데… 中의 계속된 北 두둔, 한국을 美 MD(미사일 방어)로 떠민다 (0) | 2013.02.16 |
북한의 핵 폭발력, 한국 국민은 속았다?… 獨연구소"북핵 폭발력,히로시마원폭 3배" (0) | 2013.02.15 |
'인민군 총공격 제보자' 63년만에 무죄 (0) | 2013.02.13 |
방사청, 무기 받지도 않고 594억원 선지급 낭비 (0) | 201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