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야구(미국).추신수.류현진.박찬호.

직구 구속으로 보는 류현진 성적은?


직구 구속으로 보는 류현진 성적은?


  • 입력 : 2013.06.22 06:43

    
	직구 구속으로 보는 류현진 성적은?
    여러 가지 변화구가 춤추는 시대다. 그래도 여전히 타자들에게 가장 치기 어려운 공은 제구가 잘 된 직구다. 구속이 빠르다면 위력은 배가된다. 그렇다면 류현진(26, LA 다저스)의 성적도 직구 구속에 영향을 받고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어느 정도 그렇다’다.

    류현진은 22일(이하 한국시간) 현재 6승3패 평균자책점 2.96을 기록 중이다. 기대 이상의 성적이다. 14번의 선발 등판에서 무려 11번이나 퀄리티 스타트(선발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를 기록했다. 반대로 6이닝을 소화하지 못한 경기는 단 한 번밖에 없었다. 이제는 에이스 클레이튼 커쇼와 함께 팀에서 가장 믿을 만한 선발투수로 자리매김했다.

    그런데 류현진은 경기 후 “직구 구속이 잘 나왔다” 혹은 “그렇지 않았다”로 경기력을 대변하는 일이 많았다. 제구도 제구지만 선수 스스로 구속과 성적의 상관관계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최고 93마일을 던진 5월 29일 LA 에인절스전 완봉 이후에는 “몸이 좋아 구속이 잘 나왔다”라며 구속 향상을 호투의 비결 중 하나로 손꼽았다. 반면 지난 13일 애리조나와의 경기를 마치고서는 “평소보다 구속이 2~3마일 덜 나왔다”라는 말을 했었다.

    그렇다면 직구 구속과 승수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을까.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 1마일(1.6㎞) 차이지만 그 1마일의 의미는 생각보다 컸다. 통계전문사이트 팬그래프닷컴의 자료에 의하면 류현진의 직구 평균 구속이 90마일(144.8㎞)을 넘긴 경기는 8경기였다. 이 중 류현진은 5경기에 승리를 따냈다. 4월 8일 피츠버그전(145.3㎞), 4월 14일 애리조나전(145.2㎞), 5월 1일 콜로라도전(146.8㎞), 5월 12일 마이애미전(145.8㎞), 그리고 5월 29일 LA 에인절스전(146.8㎞)이었다.

    이 중 에인절스전에서는 95마일(153㎞) 강속구를 던지기도 하는 등 빼어난 직구 구위를 뽐냈다. 비록 승리를 챙기지는 못했지만 평균 구속이 가장 높았던(147.3㎞) 6월 8일 애틀랜타전에서도 류현진은 7⅓이닝 1실점으로 호투했었다. 반대로 직전 등판이었던 20일 뉴욕 양키스전에서는 직구 평균 구속이 89마일(143.2㎞)에 머물렀고 결국 빠르지 않은 직구 두 개가 장타로 이어지며 패전의 멍에를 썼다.

    물론 직구 구속 자체로 승리가 좌우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나머지 1승은 142.3㎞의 평균 구속을 기록한 5월 23일 밀워키전에서 나왔는데 14경기 중 가장 낮았다. 구속만큼 제구나 변화구 구사, 그리고 운도 따라야 한다. 다만 류현진은 에인절스전 이후 “볼 빠르기가 그렇게 유지되어야 통한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라고 털어놨다. 직구의 위력은 변화구 위력과도 직결된다는 측면에서 중요성은 클 수 있다.

    류현진이 현재의 직구 구위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컨디션 조절은 물론 시즌 중반 이후의 체력 관리도 중요하다. 류현진은 4일 휴식 후 등판에 대해서는 아직 다소간의 생소함과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4일 휴식 후에는 구속도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 격차를 줄이는 것도 과제다. 직구 구속의 꾸준함. 어쩌면 류현진의 올 시즌 성적을 쥐고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