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아리랑(알이랑)

[스크랩] 인류 최고의 찬송가 아리랑[2]

 

인류 최고(最古)의 찬송가 아리랑[2]

 

 

  창조주 유일신의 이름 ‘알’

  

  왜 ‘알’이 유일신 하느님을 뜻하는 말이었을까? ‘알’이 수많은 생명을 낳기 때문이다. 쌀도 볏알(볍씨)에서, 과실도 씨알에서 생기고, 하늘과 땅과 바다의 허다한 생물들이 또한 ‘알’에서 탄생한다. 그래서 ‘알’은 ‘모체(母體)’요, ‘근원(根源)’이요, ‘시작(始作)’과 같은 뜻을 갖는다. 따라서 창조주 하느님도 ‘알’이었다. 왜냐하면 그는 만물의 모체이시고 근원이시며 시작이시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 한국인은 그 ‘알’이 ‘큰 모체’이시고 ‘큰 근원’이시며 ‘커다란 시원(始原)’이시기에 ‘알’ 앞에 ‘한’이라는 관형사를 붙였다. 또한 그 ‘알’이 인격적 존재이심으로 ‘알’ 뒤에 ‘님’이라는 존칭명사를 붙였다. 그래서 창조주 유일신을 ‘한알님’이라고 부른 것이다. 이 ‘한알님’이 한알님→하날님→하늘님→하느님으로 변한 것이다. 따라서 ‘알’은 하느님을 뜻하는 말이다.

  

  더욱이 ‘하늘’은 둥굴어서 ‘알’인데, ‘하늘’이라는 말도 처음에는 ‘한알’, 즉, ‘큰 알(大卵)’이었다. 한알→하날→하늘로 변한 것이다. 만물을 내신 한알님(하느님)은 한알(하늘)에 계신다. ‘큰 알(大卵)’, ‘큰 모체(母體)’, ‘큰 근원(根源)’ 같은 뜻으로서의 ‘한알’에 ‘하늘’이라는 말의 기원이 있는 것이다.

  

  지난날의 우리 신화  전설에서, 한 시조(始祖)의 탄생이 난생(卵生)으로 이어지던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밝불거뉘)는 망아지가 알을 품고 있다가 뛰쳐나간 그 알에서 태어났다. 그 밖에도 비슷한 이야기는 많다. 짐승이나 사람이 알을 낳는다. 너무도 이상해서 갖다 버린다. 그러면 새와 짐승들이 그 알을 보호하며 노래 부른다. 그렇게 하늘의 뜻에 따라 보호를 받으며 태어난 것이 고주몽(高朱夢)이기도 하고, 금와(金蛙)이기도 하다.


  ‘알’이라는 것은 우리 조상들에게 있어서 사물(事物)의 핵심이었다. 그리고 ‘시작’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커다란 시원(始原)’으로서의 ‘알’이 곧 한알→하날→하늘로 된 것이다. 그러한 하늘이었기에 삼라만상(森羅萬象)은 곧 당신의 것이었다. 당신이 낳으시고, 당신이 기르시고, 또 당신이 주재하시는 것이었다. 홍수 전 사람들이 창조주 유일신을 ‘알’이라고 불렀던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하느님을 뜻하는 성경 원어 ‘엘(EL)’은 바로 이 ‘알’에서 가지 쳐 나온 말이다. ‘엘’은 ‘다스리는 이’, ‘강하신 분’이란 뜻을 가진 신명(神名)으로 셈어(Shemitic)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된 ‘하느님’ 또는 ‘신성(Divinty)’에 관한 호칭이다. 이 ‘엘’은 바로 ‘알’의 변음이다. 홍수 이전의 사람들은 하느님을 ‘알’이라고 불렀다. 이 ‘알’이라는 단어는 창조주 하느님을 뜻하는 일종의 원형 언어로서 노아에 의해 홍수 이후의 세대로 전승 되었다.


  노아는 홍수 후 방주가 머무른 산의 이름을 ‘하느님의 산’이라는 뜻으로 ‘알뫼’(알산)라고 했다. 여기에서 방주가 안착한 지역인 ‘알뫼니아’(아르메니아)라는 지명이 나왔으며, 그 산은 오늘날까지 ‘알산’, 곧 ‘아르 산’이라고 불리어진다. 창세기에는 방주가 아라랏 산에 정박했다고 기록되어 있다(창 8:4). 아라랏 산은 터키 동부 고원지대에 위치한 산인데, 터키어로 ‘아르 다으’ 즉 ‘아르 산’이라고 불린다. 이 ‘아르’는 원래 ‘알’에서 나온 말이다. 아라랏 산은 터키에서 가장 높은 해발 5137m의 ‘대 아르’와 해발 3985m의 ‘소 아르’로 구성돼 있다. ‘대 아르’는 일 년 내내 흰 눈으로 덮여 있는데, 만년설을 쓰고 있는 이 ‘대 아르’가 창세기의 아라랏산으로 추정되고 있다.

         

 

늦여름의 아라랏산 모습. 터키의 최동쪽(아르메니아, 이란 국경사이)에 있다.

우측 봉우리가 터키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대아르’, 남쪽(좌측)의 뾰족하게 솟은 봉우리가 ‘소아르’이다.

 

  ‘알’이란 단어는 고대에 대단히 소중한 말이어서 인명과 지명에 널리 사용되었는데, 노아로부터 일신신앙을 계승한 ‘셈’은 자신으로부터 일신신앙을 상속한 그의 셋째 아들의 이름을 ‘알밝삿’(아르박삿)이라고 했다. 또한 ‘알밝삿’의 증손자로서 에벨로부터 셈계의 일신신앙 계승한 욕단은 자신의 맏아들의 이름을 ‘알모닷’이라고 지었다. 더 나아가 ‘알아랏’, ‘알뫼니아’, ‘울알’, ‘알타이’, ‘알알해’, ‘알마타’, ‘알류우산열도’, ‘알라스카’와 같은 지명들은 모두 창조주 하느님의 최초 신명(神名)인 ‘알’에 근거를 둔 말이다.


  홍수 후 ‘알’은 주로 셈 계통의 민족들에게 그들의 신(神)을 나타내는 말로 쓰여져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유대인은 ‘엘(EL)’이라는 말로 쓰고 있는데, ‘이스라엘’(하느님과 겨루어 이김)의 ‘엘’을 비롯하여 ‘브니엘’(하느님의 얼굴), ‘엘 엘리온’(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엘 샤다이’(전능하신 하느님), ‘엘 찌드케누’(치료하시는 하느님)라는 말이 있고, 아랍인들은 그들이 믿고 있는 신의 이름을 ‘알’이라고 부르는데 ‘알아’(알라)가 그것이다. 특히 한국인은 아직도 창조주 하느님을 ‘알’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하느님’의 어원이 ‘한알님’이기 때문이다.

 

   ‘알’이 고대 하느님의 이름이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좋은 사례로서 ‘메아리’를 들 수 있다. ‘메아리’는 본래 말이 ‘뫼알이’ 이다. 이 말은 ‘뫼의 알’, 즉 ‘산신’을 말한다. 산에 가서 ‘야호~’ 하고 고함을 치면 ‘야호~, 야호~, 야호~’ 라고 맞은편의 산이 있는 숫자만큼 되돌아오는 소리를 우리 조상들은 산신의 소리로 연상했던 것이다. ‘엘(EL)’, ‘얼’, ‘일’과 같은 말들은 바로 이 ‘알’의 변음이다.

  

  하느님인가, 하나님인가?

  

  우리 한국인은 아득한 옛날부터 창조주 유일신을 ‘한알님’, 즉 하느님이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성경에 계시된 유일신 하느님을 표시하는 최고 ․ 최적의 단어이다. 왜냐하면 ‘알’이라는 말 자체가 노아에 의해 전해진 창조주 하느님을 뜻하는 지상 최초의 원형 언어일 뿐만 아니라, 그 ‘알’을 수식하는 ‘한’이라는 말 때문이다. 우리말 ‘한’은 그 의미가 매우 다양한데, ‘한알님’(하느님)의 경우 ‘한’은 적어도 다음 세 가지 의미를 지닌다.


  1) ‘하나’(一, one)라는 의미: ‘한 개’, ‘한 명’, ‘한 사람’의 ‘한’은 모두 하나(one)를 뜻한다.


  2) ‘크다’(大, great)라는 의미: 할아버지는 ‘한아버지’에서, 할머니는 ‘한어머니’에서 파생된 말로서, 여기서 ‘한’은 ‘크다’(great)라는 뜻이다. 단군을 ‘한배검’이라고 하는데, ‘한배검’의 ‘한’ 역시 ‘크다’(great)를 의미한다.


  3) ‘가운데’(中, middle)라는 의미: ‘한가운데’, ‘한복판’, ‘한가위’, ‘한겨울’ 등은 ‘가운데’(middle)를 뜻한다.


  따라서 ‘하느님’(한알님→하날님→하늘님→하느님)이라는 말은 ‘한 분(only one)이신 하느님’이라는 뜻이고, ‘크신(great) 하느님’이라는 뜻이며, ‘중심(middle)이신 하느님’이라는 뜻이다. ‘하느님’이라는 우리 토박이말은 이 세 가지 의미를 모두 함축한다. 이 얼마나 뛰어난 신명(神名)인가? 유일신관을 나타내는 말로서 이 이상 더 좋은 말은 세상에 다시없다.


  우리 한민족에게 ‘하느님’은 잡귀신 중의 하나가 아니다. 아주 두드러진 지위를 가진다. ‘하느님’은 성경 창세기에 계시된 유일신 하느님과 동일한 신인 것이다. 우리 조상은 여호와를 ‘하느님’으로 부르며 예배했던 것이다. 분명히 ‘하느님’은 한민족에게는 천지의 주인인 동시에 또한 민족 조상의 하느님이시다(함석헌, 「뜻으로 본 한국역사」, 한길사, 1933년, 105쪽).


  ‘하느님’ 즉 ‘하늘님’은 하늘을 신격화한 명칭이 아니다. 예를 들어 ‘나랏님을 존경하자’라고 했을 때, 나라를 인격화하여 존경하자는 말이 아닌 것과 같은 이치다. ‘나랏님’은 ‘나라를 다스리는 이’를 뜻하는 것으로서 임금을 존경하자는 말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하느님을 공경하자’라는 말은 하늘을 공경하자는 말이 아니라, 하늘에 계시는 ‘하느님 아버지(Heavenly father)’를 공경하자는 뜻이다.


  우리 겨레가 기독교를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인 까닭은 종래 오천 년 동안 내려오며 우리의 마음속에 살아있던 이 ‘하느님 사상’, 즉 유일신 사상이 있었기 때문임을 아무도 부정하지 못한다. 실로 ‘하느님’은 우리 한민족에게는 잡신과 구별되는 아주 자연스러운 창조주 유일신의 명칭인 것이다. 심지어 무당들까지도 하늘에는 최고의 신이 있음을 인정하고 그 분을 다른 귀신들과 구별했다.

  

  그러나 한글 개역성경은 ‘하느님’ 대신 ‘하나님’으로 표기했는데 그것은 매우 어리석고 애석한 일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문법적으로 옳지 않은 말인데다가, ‘하느님’과는 달리 의미도 빈곤한 말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하나’+‘님’으로서 단지 ‘하나(one)이신 신(神)’이라는 뜻만을 나타낼 뿐이다. 그런데 왜 이런 말을 써야 하는가?


  한글 개역성경이 ‘하느님’ 대신 ‘하나님’을 쓰게 된 것은 여호와는 한 분 뿐이라는 유일신관에 기인하여 ‘하나+님’으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가령 무엇인가를 좀더 잘 해보려다가 오히려 일을 더 망친 그런 경우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우선 문법적으로 그릇된 말이며, 신학적으로도 큰 문제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라는 수사에다 ‘님’이라는 존칭 명사를 붙인다는 것은 어법에 맞지 않는다. ‘~님’은 남의 이름이나 또는 다른 명사 위에 붙여 높임의 뜻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선생님’은 ‘선생을 높인다’는 뜻이다. 그런데 하나, 둘, 셋과 같은 수사는 높일 필요가 없다. 그래서 수사에는 ‘님’이라는 존칭 명사를 붙이지 않는다. ‘하나님’은 문자 그대로 ‘하나를 높인다’는 뜻인데, ‘하나+님’, ‘둘+님’, ‘셋+님’은 어법에 어긋나는 말이다. 반드시 ‘one+님’을 표기하려면, ‘하나님’이 아니라 ‘하나’의 관형사형인 ‘한’을 붙여 ‘한님’이라고 해야 하는 것이 문법적으로 원칙이다. 그래야 어법상 무리가 없다. 그러므로 애국가는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로 표기했으며, 공문서와 교과서에도 ‘하느님’으로 통일하여 표기했다. 문법적으로 옳지 않은 말을 사용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한글 학자 최현배는 ‘하느님’으로 써야 하는 이유로 다음 세 가지 근거를 들었다.


  1) 하늘은 중세어 ‘하날’이 변한 것으로 제2음절의 고어<>는<―>로 바뀌는 것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음운 현상이다.


  2) 하느님은 ‘하늘에 계신 님’을 줄여 부르는 말로 보아야 한다.

  

  3) 기독교의 신이 유일신임을 강조하기 위하여 ‘하나+님’으로 생각한다면 잘못이며, 기독교에서나 한국의 전통 사상에서나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사상을 벗어날 수 없다.


  아주 타당한 지적이다. ‘하나님’은 어법에 맞지 않는 그릇된 말이다. 그것은 분명히 언어의 오용(誤用)이다. ‘하느님’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말이다.

  

  더욱이 그리스도인이 섬기는 창조주 하느님은 ‘한 분(only one)이신 하느님’이시오, ‘크신(great) 하느님’이시며, ‘중심(middle)이신 하느님’이신데, ‘하느님’은 이 모든 의미를 다 담고 있다. 매우 성경적인 신명(神名)이 ‘하느님’인 것이다. 왜 이렇게 좋은 말을 버려야 하는가? 


  ‘하느님’은 우리 겨레의 정서에도 잘 영합하는 아주 훌륭한 말이다. 우리는 이 뛰어난 신명(神名)을 다시 찾아야 한다. 1971년에 나온 공동번역 성경은 ‘하느님’으로 표기했다. 한글 개역성경도 ‘하느님’으로 고쳐 써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글 개역성경이 ‘하나님’을 ‘하느님’으로 고쳐 써야 할 더 중요한 이유는 신학적인 문제에 있다. ‘하나님’은 신학적으로 ‘삼위일체(三位一體)’를 부정하는 ‘단일신론’, 즉 이단을 옹호하는 이름이 된다는 것이다. 온 세상 만물을 창조하신 여호와 하느님은 유일하신 분이지만 ‘하나’는 여호와가 될 수 없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섬기는 하늘에 계신 아버지는 ‘삼위일체’이시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름을 ‘하나’로 못 박으면 어떤 의미에서든지 ‘삼위’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논리상 ‘하나(one)’는 어디까지나 ‘하나’이지 ‘삼위’가 될 수는 없다. 그래서 유대교나 회교, 그리고 현대의 유니테리안파가 믿는 단일신론에 빠지는 것이다.

  

  여호와 하느님은 ‘유일신’이시지 ‘단일신’이 아니다. 신학적으로 ‘유일신’과 ‘단일신’은 낮과 밤이 다른 것처럼 다른 것이다. 성경에 계시된 하느님은 한 분이시지만, 그 분은 삼위일체이신 한 분의 하느님이신 것이다. 따라서 ‘하나님’이라는 말은 ‘삼위일체 유일신’을 믿는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실로 어원상의 의미로나 문법적으로나 신학적으로나 ‘하나님’보다는 ‘하느님’이 유일신관을 나타내는 가장 좋은 이름이다. ‘하느님’, 즉 ‘한알님’은 무슨 회의를 해서 갑자기 만든 이름이 아니다. 그것은 홍수 이전 사람들이 부르던 창조주 유일신인 ‘알’에서 유래된 것으로 역사상 가장 오래된 신명(神名)인 것이다.


  ‘알’에서 가지 쳐 나온 말 ‘얼’

  

  ‘얼’이라는 토박이말도 ‘알’에서 가지 쳐 나온 말로서 역시 ‘신(神)’, ‘넋’과 같은 의미의 말이다. ‘정신 나간 사람’을 두고 ‘얼간이’(얼이 간 사람) 혹은 ‘얼 빠진 사람’이라고 하고, ‘얼떨떨함’이나 ‘얼이둥절’(어리둥절)은 ‘정신을 가다듬지 못한 상태’이며, ‘얼뜨기’는 ‘다부지지 못하고 겁이 많은 사람’을 뜻하며, ‘얼버무림’은 ‘제대로 버무리지 못함’을 이르는 말이다. 이렇게 ‘얼’은 ‘정신’을 뜻하는 우리의 훌륭한 토박이 말이다. 이 ‘얼’이라는 말의 시작이 바로 ‘알’이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고대 수메르어에서도 인간의 정신(Human spirit)을 뜻하는 단어가 ‘A-LA’였다는 것이 뒷받침 해준다.*

 

  이 ‘얼’을 드러내는 곳이 인체에 있어서는 ‘얼골’(얼골→얼굴)이다. ‘얼골’을 보면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즉 ‘얼’이 어떤 것인가를 대충 알 수 있다. ‘얼골’에 그것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몸 안에서 ‘얼’이 사라지면 송장이 되고 나중엔 뼈만 남는데, 그것은 더 이상 ‘얼골’이 아니므로 ‘해골’이라고 한다. "사람의 얼굴은 하나의 풍경이며 한 권의 책이다. 얼굴은 결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H. 발자크, 프랑스 소설가: 1799~1850년).

  

  한국인의 무덤이 동그란 까닭 

  

  한국인의 무덤은 동그란 모양의 봉분인데, 그것은 ‘큰 알’을 뜻한다. 셈의 후손으로서 하늘에 제사지내며 삶을 영위했던 한국인의 선조들은 스스로 천손민족(天孫民族), 즉 ‘한알님’의 백성이라고 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에게 죽음이란 ‘한알’의 품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그래서 무덤이 동그란 모양의 ‘알’인 것이다. 그들은 ‘한알님’의 백성으로서 ‘알’에서 왔으니 ‘알’로 돌아가고자 했다. 실로 한국인은 ‘알이랑 정신’으로 살고 죽는 ‘알이랑 민족’이 아닐 수 없다.

 

                                

  이제 우리는 ‘알’이 원래 무슨 말인지 확실히 깨달았다. 그것은 홍수 이전 최초의 인류 가계로부터 내려온 지상 최초의 낱말 중 하나로서, 고대에 창조주 유일신을 뜻하는 하느님의 이름이었다. 그래서 ‘알이랑’은 ‘하느님과 함께(With God)’라는 말이다. 이제까지 ‘아리랑’에 대해 수긍할 만한 해석이 없었던 이유는 ‘아리랑’은 본래 ‘알이랑’이었다는 이 단순한 사실을 몰랐기 때문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수메르인들은 머리털이 검고 곧으며, 후두가 편평하며, 태음력을 사용하였고, 한국어와 어순이 비슷한 교착어를 썼다. 대영백과사전에는 수메르인의 교착어가 한국어와 같다고 지적하고 있다. 수메르어와 한국어는 뜻과 음이 일치하는 단어가 아주 많이 있다. 한국어의 광명을 뜻하는 밝은 BAR-BAR, 금은 GUSH-KIN(KIN은 금, 누런 금속이라는 뜻, 삼국시대까지만 해도 우리 겨레는 금은 ‘구지’라고 했다), 길은 GIR, 굴(穴)은 GUR, 구릉(산보다 낮은 언덕)은 KUR, 노래는 NAR, 님(높은 분에 대한 존칭어)은 NIM, 달(月)은 DAL, 대갈(머리)은 DAD-DIL, DA-GAL, 독(장독)은 DUG, 밭(田)은 BAD, 빛은 BIR, 어른은 UR, 하늘(한)은 AN-UR(가장 높다는 뜻), 칼은 KAR, 엄마는 UMMA, 아빠는 ABBA등 유사한 말이 굉장히 많다. 특히 수천 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던 인칭대명사나 지시대명사는 더욱 일치한다. 나는 NA(나), 너는 NE(네), 그는 GE(게), 지시대명사 이는 I(이)로 각각 발음되고 뜻도 같다. 수메르인은 우리처럼 머리카락을 묶어 상투를 틀었다. 그리고 우리와 똑같은 형태의 씨름을 했으며, 고구려, 가야, 신라 등에서 쓰인 회도를 사용했다. 또한 파미르 고원이 원산지인 파를 즐겨 먹었다. 이 모든 것들은 한국인과 수메르인이 같은 종족이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들은 대홍수 후 동방으로 이동했던 우리 한국인들의 형제 족속들로서, 바이칼호(天海)에서 출발하여 서쪽으로 다시 역이동해 중앙아시아(실크로드)를 거쳐서 메소포타미아 지방에 들어가 문명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 “History begins at Sumer”의 저자인 S. N. Krammer 박사는 수메르인은 동방에서 왔다고 주장한다. “The Genesis of Civilization”의 저자인 David M. Rohl 박사는 수메르(Sumer)라는 지명은 노아의 아들 셈(Shem)에서 유래했다고 단정한다. 우리 한국인은 셈의 후손이다. 추천 도서: ①새뮤얼 노아 크레이머,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서울, 가람기획), 2000 ②데이비드 롤, 문명의 창세기(서울, 해냄), 1999 ③문정창, 한국 ․ 슈메르 이스라엘 역사(서울, 한뿌리) 1979.   

 

계  속


알이랑민족회복운동 

유석근 목사

club.cyworld.com/alilang  

                                                                                                                                                  

출처 : 알이랑 코리아 선교회 - 알이랑민족회복운동
글쓴이 : 셈의장막재건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