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아리랑(알이랑)

[스크랩] 인류 최고의 찬송가 아리랑[1]

인류 최고(最古)의 찬송가 아리랑[1]


    

    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 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명난다


  행마다 열자씩 4행 40자의 이 분장(分章) 가요. 이 노래를 우리는 ‘아리랑’이라고 부른다. 아리랑…. 이 노래만큼 우리 민족의 애환을 달래 온 노래도 없으리라. 슬플 때도 아리랑, 기쁠 때도 아리랑…. 아리랑은 우리 겨레의 역사와 함께 민족의 한과 기쁨을 노래해 온 단 하나의 노래다.

 

아리랑이 서양에 처음 알려진 것은 19세기 말.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미국인’으로 알려진

호머 헐버트(1863∼1949) 선교사는 구전으로 전해오던 아리랑을

1896년 서양식 오선지에 처음 채보해 외국에 알렸다.

 그는 “아리랑은 조선인에게 쌀과 같다”고 하였다. 

 

한민족 대표 노래인 ‘아리랑’을 최초로 서양 악보로 기록한 호머 H 헐버트 선교사.


 

  아리랑을 부를 때 한국인은 일체감을 느낀다. 아리랑은 흩어진 겨레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힘이며, 우리 겨레를 강력하게 결속시켜 주는 한민족 공통의 정서이다. 그래서 오늘처럼 남북이 분단되어 올림픽 단일팀이 하나의 국가(國歌)를 부르기 어려울 때는 ‘아리랑’을 국가처럼 합창하여 한 민족임을 확인한다.


  실로 아리랑은 시대와 지역, 신분과 사상을 초월하여 우리 겨레의 피 속에 끈끈하게 흘러 내려오는 하나의 정서이며, 앞으로도 끊임없이 이어나갈 우리의 정신이다.


  한국인은 아리랑을 부를 때 저절로 흥이 난다. 기쁜 자리 슬픈 자리 없이 언제 어디서나 불러서 기쁘고, 들어서 정다운 노래! 무슨 이유로 ‘아리랑’은 한국인의 마음에 그토록 크게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일까? 아득한 옛날부터 남녀노소 상하귀천 없이 입을 모아 불러 온 노래…. 들어도 들어도 싫지 않은 이 노래는 과연 언제부터 무슨 연유에서 불려지기 시작한 것일까? 현재까지 아리랑의 비밀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두고 오랫동안 연구가 거듭되어 왔으나 시원한 해답은 찾을 수 없었다.


  아리랑은 매우 단순한 노래이다. 그러나 아리랑은 굉장히 큰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특별한 노래이다. 아리랑은 놀랍게도 우리 한민족의 선조들이 홍수 후 셈계의 일신신앙을 가지고 동방으로 이동할 때, 험한 산과 높은 고개, 그리고 고원들을 넘어오면서 부른 ‘찬송가’였다(창 10:21~30).


  아리랑

 

  가장 중요한 것은 ‘아리랑’이라는 말의 의미이다. 모든 종류의 아리랑 노래에서 변하지 않고 쓰이고 있는 후렴구가 ‘아리랑’이다. 그만큼 한국인에게 ‘아리랑’이라는 말은 특별한 뜻과 사연이 배어 있다는 증거다. 사실 한국인은 ‘아리랑’이라는 말 자체에 친근감을 느끼며 흥분하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아리랑 연구가는 ‘아리랑’은 뜻이 없는 단순한 후렴구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단지 흥을 돋우고 음조를 메워나가는 구실을 하는 말이라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아무 뜻도 없는 말이 한국인의 마음을 그토록 오랜 세월 동안 사로잡아 왔단 말인가? 당치도 않은 소리다. 그가 그렇게 알맹이 없는 결론을 내린 것은 ‘아리랑’이라는 말의 뜻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 아무리 궁구를 해보아도 그 의미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만에 하나 그의 주장대로 ‘아리랑’이 단순히 ‘흥을 돋우고 음조를 메워나가는 구실을 하는 아무 뜻이 없는 말’이라고 치자. 그럴 경우에도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왜 하필이면 그것이 ‘아리랑’이라는 말인가? 꼭 그래야만 할 이유가 없다. 차라리 ‘아리랑’은 끝까지 해명이 필요한 어떤 특별한 뜻이 있는 말로 간주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더욱이 ‘아리랑’은 후렴구다. 후렴(refrain)이란 노래 곡조 끝 혹은 앞에 붙여 반복해 부르는 짧은 가사를 말한다. ‘아리랑’이 노래의 후렴구라는 사실은 ‘아리랑’이라는 말이 굉장히 중요한 뜻을 담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왜냐하면 대부분 후렴은 그 노래의 중요 메시지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아리랑’에 담겨 있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아리랑’에는 한국인의 원형과 정체가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아주 귀중한 비밀이 감추어져 있다. ‘아리랑’은 선민 한민족의 키워드(keyword)이다. 먼저 기억해야 할 사실은 ‘아리랑’은 한자말이 아니라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아리랑’이라는 한자 가사가 기록된 책이 어디선가 고서 가운데 한 권이라도 발견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런 책은 전혀 없다. 왜냐하면 아리랑은 구전으로만 전해온 순 우리말의 민요이기 때문이다. ‘아리랑’은 원래 ‘알이랑’이다(알이랑→아리랑).


     알이랑 알이랑 알 알이요

     알이랑 고개를 넘어 간다

 

  그런데 오랜 세월동안 글이 없는 가운데 구전으로만 전해지다 보니,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로 부르게 되었고, 결국 가사가 그렇게 굳어지고 만 것이다. 그러니까 원래의 노랫말을 잃어버린 것. 따라서 아리랑이 진정 어떤 노래인지를 알려면 먼저 가사부터 “알이랑 알이랑 알 알이요”로 복원해야 할 것이다.

 


아리랑의 비밀을 해석하는 열쇠, ‘연음법칙


알이랑 알이랑 알알이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우리말의 발음에는 ‘연음법칙’이라는 음절의 연결규칙이 있다.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이 이어질 때

앞 음절의 끝소리가 뒤 음절 첫소리가 되는 음운 규칙을 말한다.


예, “깊이→기피”  “옷을→오슬”  “책이→채기”  “낮에→나제”

“벗이랑→버시랑”  “가물어 메마른 땅에”→“가무러 메마른 땅에”  “하늘이→하느리”


알이랑→아리랑

알알이요→아라리요

 


  ‘알이랑’은 ‘알’과 ‘이랑’으로 구분된다. ‘알’은 ‘하느님’을 의미한다. ‘하느님’이라는 신명(神名)은 처음에 ‘알’이었다. 그런데 ‘알’ 앞에 ‘한’이라는 관형사를 붙이고, ‘알’ 뒤에 ‘님’이라는 존칭명사를 붙여서 ‘한알님’이라고 했다. 그것이 한알님→하날님→하늘님→하느님으로 바뀐 것이다. 그래서 ‘알’은 ‘하느님’이다.


  창조주 하느님을 뜻하는 원시 언어가 ‘알’이었다. 유대인의 ‘엘(EL)’, 아랍인의 ‘알아(알라)’는 바로 이 ‘알’에서 파생된 말이다(‘알라’는 아랍어로 유일신 하느님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렇기에 그리스도인인 아랍 사람들도 이 단어를 사용한다). 구약성경에 나오는 하느님의 이름인 ‘엘로힘’(단수는 Eloah)은 ‘알라(alah)’라는 말에서 유래했다(벌코프 조직신학 239쪽 *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간). 즉 창조주 하느님을 뜻하는 인류 최초의 신명이 우리말 ‘알’이었는데, 노아에 의해 홍수 이후의 세대로 전해졌다.


  ‘이랑’은 “~와 함께”라는 토씨로서(언어학자들은 ‘토씨’는 6천년 이상 간다고 한다) 영어의 ‘With’이다(예, 갑돌이랑=갑돌이와 함께, 갑순이랑=갑순이와 함께). 따라서 ‘알이랑’은 ‘하느님과 함께(With God)’라는 말이다.

 

                                                                                                       계  속

 

알이랑 코리아 제사장 나라

유석근 목사

cafe.daum.net/ALILANG  

  

출처 : 알이랑 코리아 선교회 - 알이랑민족회복운동
글쓴이 : 셈의장막재건자 원글보기
메모 : 한국인의 우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