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치정치 일반野 단독처리한 ‘남는 쌀 의무매입법’… 올해 매입 비용만 7900억김경필 기자입력 2022.09.17 03:00

 

野 단독처리한 ‘남는 쌀 의무매입법’… 올해 매입 비용만 7900억

입력 2022.09.17 03:00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위원회에서 단독 처리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현재 정부가 재량으로 하고 있는 ‘쌀 시장 격리’(남는 쌀 매입)를 매년 의무적으로 하도록 강제하는 법안이다. 쌀 시장 격리는 국내 수요보다 많이 생산돼 남아도는 쌀을 농협이 사들이고, 농협이 쌀을 사는 데 쓴 돈을 정부가 세금으로 보전해주는 제도다.

현재는 정부가 쌀 시장 격리를 실시할지 자체적으로 판단하도록 돼 있다. 민주당 법안은 정부의 재량권을 없애고, 쌀 초과 생산분이 나오는 대로 농협이 무조건 전부 사들이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또 현재는 쌀 추수철이 지난 뒤에 시장 격리를 할 경우 최저가를 제시한 농민의 쌀부터 사들이도록 돼 있는데, 민주당 법안은 추수철에 곧바로 ‘시장 가격’으로 사들이도록 했다. 지금보다 비싼 값을 주고 사들이라는 의미다. 쌀값을 세금으로 떠받치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법안을 일방적으로 처리했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을 뿐, 민주당 법안을 대놓고 반대하지는 못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도 대선 당시 쌀 재배 농가 표를 의식해 쌀 시장 격리 확대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윤석열 후보 선거대책위원회가 문재인 정부에 쌀 20만t을 추가로 사들이라고 요구한 적도 있다.

문제는 쌀 시장 격리에 들어가는 비용이 막대하다는 점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수확한 쌀 가운데 37만t을 올해 8월까지 사들이는 데만 7900억원이 들어갔다. 또 매년 쌀이 남아돌고 있어 사들인 쌀을 되팔아 매입 자금을 회수하기도 어렵다. 매입가의 10분의 1 수준에 사료용으로 매각하는 경우도 있다. 보관에 들어가는 비용도 크다. 쌀 1만t을 2년 보관하는 데 229억원가량이 드는 것으로 추산된다. 올해 사들인 37만t을 2년 보관하는 데에만 8473억원이 드는 것이다. 민주당 법안이 통과돼 쌀 시장 격리 규모가 확대되면 매년 쌀 매입과 보관에 조 단위 세금이 들어갈 수 있다.

 

쌀 시장 격리가 식량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은 매년 20만t 이상 남지만 콩이나 밀 등의 공급은 부족한데, 과잉 생산된 쌀을 정부가 계속 사주면 농민들이 쌀 외에 다른 품목을 재배하지 않게 된다”고 했다. 쌀을 제외한 다른 작물의 자급률을 높이는 데 쌀 시장 격리가 방해가 된다는 것이다.

쌀 시장 격리를 법으로 의무화하면 국제적으로는 정부가 ‘농업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세계무역기구(WTO) 협상이나 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관련 기사
더불어민주당이 ‘김건희 특검법’에 이어 ‘노란봉투법’ ‘쌀 의무 매입법’ ‘감사완박법’ 등 정부·여당이 반대하는 법안들에 대해...
정치 많이 본 뉴스
민주당이 지난달 28일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대표를 선출한 이후 당 지지율이 계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가 끝나면 일...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이 17일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주 의원은 이날 “긴 고심 끝에 원내대표 선거에 참여하기로 결심했다”며 이같이 밝혔...
 
폴란드 정부가 16일(현지 시각) 30억 달러(4조 1760억원) 규모의 한국산 FA-50 전투기 48대 도입에 대한 이행 계약을 체결했다....
 
 
 
100자평
13
 
찬성순반대순관심순최신순
2022.09.17 06:39:34
나라 말아 묵는 性핵관 민주당 자진 공중분해허라
답글작성
38
0

2022.09.17 06:36:18
노란봉투법등 악법을 국회다수당을이용 무소불위로 처리하는 더불당은 자멸을 초래할것이다.
답글작성
34
0

2022.09.17 07:13:39
야당, 민주당은 공당으로 입법 의지가 좌고우면하는 진지함은 없고 반정부 투쟁성 민원에 편승하여 선동 입법에 주력하는 수준이 아닌가 한다. 법사위에 논의 상정을 막고 법안 의결이 되면 대통령을 거부권 행사로 바로 잡아가야 한다. 입법 만행에 불과한 법안 아닌가. 오직 선동질에 기반한 입법 발의...
답글작성
23
0
더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