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피니언데스크에서[데스크에서] 은퇴자 울리는 건강보험료이경은 기자입력 2022.07.05 03:00

[데스크에서] 은퇴자 울리는 건강보험료

 

입력 2022.07.05 03:00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창립 22주년을 맞아 공익광고 전문가 이제석씨와 함께 만든 '든든한 평생 친구' 캠페인./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1988년부터 30년 넘게 국민연금을 부어왔어요. 물가가 올라서 한 달 177만원 받아봤자 노부부 살기엔 빠듯한데, 이것도 수입이라고 건보료까지 내라고 하네요.”

정부가 9월부터 개편하는 건강보험료 부과 체계가 노후 연금 시장에서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지금까지는 연 소득 3400만원 이하면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9월부터 2000만원 이하로 강화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민연금을 월 167만원 이상 받고 있다면, 자녀 직장보험 피부양자에서 바로 탈락해 지역 가입자로 전환된다. 피부양자 자격을 따질 땐 연금액 전체가 기준이다. 2021년 연금 소득이 2000만원을 넘었다면, 당장 9월부터 피부양자 자격을 잃고 안 내던 건보료를 내야 한다(4년간 경감)는 얘기다. 수도권에 아파트 한 채만 갖고 있어도 건보료는 월 30만원이 훌쩍 넘으니, 은퇴 후엔 상당히 부담되는 액수다.

100세 시대 연금 부자를 꿈꿨던 예비 은퇴자들은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다. 특히 ‘연기 국민연금’은 앞으로 기피 대상 1호로 떠오를 전망이다. 연기 연금은 국민연금 수령을 1년 늦추면 7.2%씩, 최대 36%(5년) 더 지급해 주는 제도다. 하지만 연금액이 월 167만원을 넘으면 건보료 부담이 생기기 때문에 꺼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대구에 사는 은퇴 생활자 A(67)씨는 5년 전 연기 연금을 선택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 그는 “늙어서 애들한테 손 벌리기 싫어 연기 연금을 신청했는데, 그 선택이 독(毒)이 됐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을 제때 받았으면 월 130만원이라서 문제가 없었을 텐데, 괜히 5년 늦춰서 월 177만원씩 받게 된 바람에 피부양자에서 탈락하고 월 35만원씩 건보료를 내게 됐다는 것이다.

 

반면 연금액이 최대 30% 깎이기 때문에 노후 생활이 어려운 은퇴자들이나 신청한다고 여겨졌던 ‘조기 국민연금’은 건보료 회피 대안으로 급부상하는 중이다. 자녀 직장보험의 피부양자인 B씨는 이달 중 조기 연금을 신청할 계획이다. B씨는 “3년 뒤에 정상적으로 국민연금을 받으면 월 177만원(연 2124만원)이라서 바로 피부양자에서 탈락하지만, 올해부터 앞당겨 받으면 연 1800만원 정도라서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피부양자 탈락 시 B씨가 내야 할 예상 건보료는 연 300만원. 그는 “노후에 연금만 갖고 살아가야 하는 은퇴자에게 건보료 300만원은 가혹하다”고 말했다.

현재 국민연금을 월 100만원 이상 받고 있는 사람은 43만명이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탈락 여부에 따라 노후 생활 희비는 엇갈릴 수 있다. 가뜩이나 40만원으로 높아진 기초연금 때문에 국민연금에 대한 불만이 커진 상황이다. 건보료 때문에 억울한 은퇴자들이 더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윤석열 정권은 성공할 수 있을까? 출범한 지 두 달 남짓한 정권을 향해 이런 성급한 질문을 던지는 것은 지금 우리의 상황이 그만큼 절박하기 ...
 
1548년 2월 26일 아침, 베네치아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피렌체 귀족 로렌초 디 피에르프란체스코 데 메디치(Lorenzo di Pierf...
 
“1988년부터 30년 넘게 국민연금을 부어왔어요. 물가가 올라서 한 달 177만원 받아봤자 노부부 살기엔 빠듯한데, 이것도 수입이라고 건보...
 
 
 
100자평
3
 
찬성순반대순관심순최신순
2022.07.05 06:30:38
국민세금을 낭비하지 말고 지금부터 국민연금에 지원하고 잘 불리면 고갈시기를 엄청 늦출 수 있다고 봅니다. 주사파 문어벙 패거리들이 빼먹은 국민의 혈세가 어디 한 두푼입니까요?
답글작성
10
0

2022.07.05 05:16:52
고령화 시대를 맞아 국민연금이든 건강보험이든 혜택 보는 사람은 많아지고 돈 낼 사람은 적어서 앞으로는 국민 부담이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이 문제는 워낙 어려운 고차 방정식이어서 풀 묘수가 보이지 않는다.
답글작성
10
0

2022.07.05 07:13:18
우리의 현실은 은퇴자 연금을 받고 있는 분들이 일반 은퇴자가 아닌 일반 시민들이 더 많다.건강보험료를 이런 은퇴자들이게 더 많이 부과 하는 것은 당연하다.수입많은 노인들이 더 많이 병원을 이용하기에 그렇다.년 2000만원 이상 은퇴노인들은 모두 피부양자로 인정하지 않고 보험료를 납부 하라는 것은 정의로운 보험정책이다.고령시대에 접어 들어 은퇴자들 보다 못사는 노인들이 더 많은 우리의 현실을 감안 보험적자를 막는 유일 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윤정부가 공평하고 공정한 정책시행으로 적극 찬성한다.과감하게 시행하기 바란다
답글작성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