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보/검찰총장 "채동욱"

[채동욱 검찰총장 사퇴] 법무부, 검찰총수 사생활 의혹 검증하려 하자… 蔡총장 자진 하차


[채동욱 검찰총장 사퇴] 법무부, 검찰총수 사생활 의혹 검증하려 하자… 蔡총장 자진 하차

[참조] 구렁이 담넘어가듯 끝내지 말고, 
         유전자 검사 시켜야!!
         전두환, 노태우대통령 끝장 내듯?, 
         
  • 강훈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입력 : 2013.09.14 03:00

    [검찰총장 전격 사퇴 배경]

    개인 문제에 검찰조직 동원하고 정치적 음모론까지
    법무부 "사정기관 책임자 도덕성 논란 방관 못해"
    "蔡총장, 물러날 타이밍 보고 있었던 것" 분석도

    법무부가 사상 처음으로 검찰총장에 대한 감찰(監察) 카드를 빼어든 지 1시간 만에 채동욱(54) 총장이 사의를 표명했다. 정부로선 수장(首長)의 혼외 아들 논란에 휩싸여 만신창이가 돼가는 검찰을 방치할 수 없었고, 벼랑 끝으로 몰린 채 총장에겐 '탈출구'가 필요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6일 '채 총장이 혼외 아들을 숨겨왔다'는 보도 직후 대검찰청 기능은 마비되기 시작했다. '본인은 모르는 일'이라고 주장한 채 총장을 방어하기 위해 범죄정보기획관실 등 검찰 조직이 대거 동원됐다. 지난 9일 혼외 아들의 학교 기록에 아버지 이름이 '채동욱'으로 적힌 사실이 보도되자, 채 총장은 "가장으로서 한 점 부끄러운 일을 한 적 없다"고 되받았으나, 채 총장을 10여년간 알고 지낸 임모(54)씨 편지가 공개되면서 파문은 더욱 커졌다. 검찰 곳곳에서 "이젠 더 이상 총장 말을 못 믿겠다"는 반응이 나왔다. 조직은 동요했고 총장의 리더십은 실종 직전까지 갔다. 때마침 전두환 전 대통령 자녀들이 추징금을 완납하겠다는 수사 성과가 있었지만 수장의 혼외 아들 논란에 묻힐 정도로 검찰은 깊은 수렁에 빠져들었다.

    
	대검찰청 떠나는 채동욱 총장… 13일 오후 사퇴 의사를 밝힌 채동욱 검찰총장이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을 떠나고 있다. ‘혼외 아들’ 의혹이 있었던 채 총장은 1분가량 짧은 소회만 전한 뒤 바로 청사를 떠났다
    대검찰청 떠나는 채동욱 총장… 13일 오후 사퇴 의사를 밝힌 채동욱 검찰총장이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을 떠나고 있다. ‘혼외 아들’ 의혹이 있었던 채 총장은 1분가량 짧은 소회만 전한 뒤 바로 청사를 떠났다. /오종찬 기자
    이는 당연히 '정부는 뭐하냐'는 지적으로 이어졌다. 게다가 유전자 검사만 하면 금방 판명 나는 '혼외 아들 확인'이라는 간단한 팩트를 두고 채 총장의 말만 믿고 국가 기관이 휘청거리는 모습을 방치하는 것은 정부의 직무 유기라는 비판도 나왔다. 여권 내부에서도 채 총장의 사실상 첫 작품인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에 대한 강도 높은 수사와 선거법 위반 혐의 적용 이후, 채 총장에 대해 부담을 느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법무부는 이날 오후 "국가의 중요한 사정기관의 책임자에 대한 도덕성 논란이 지속되는 것은 검찰의 명예와 검찰에 대한 신뢰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라면서 전격적인 감찰을 선언했다.

    법무부의 진상 파악을 위한 감찰이 시작되면 사건 양상이 달라진다. 언론이 할 수 없는 채 총장에 대한 통화 내역 조회와 계좌 추적 등 전방위 조사가 이뤄진다. 편지를 보낸 임씨에겐 '아이 아버지를 채 총장이라고 주변에 알려왔지만 자신이 사칭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세련된 해명으로 누군가의 코치를 받은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된 상황이다. '채 총장과 수년 전 연락이 끊겼다'는 임씨의 주장도 채 총장 측 통화 내역 조회만 하면 사실 여부를 금방 확인할 수 있다. 또 감찰 과정에서 채 총장의 '호방한 모습'(임씨 편지 표현)에 대한 다른 부적절한 행위가 노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때문에 채 총장의 사퇴는 혼외 아들 문제에 대한 '최종 확인'을 막기 위한 자구책으로 받아들이는 해석이 많다. 검찰 관계자는 "시간을 끌어봐야 사정이 나아질 게 없다고 본 채 총장에겐 다른 길이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래선지 채 총장이 울고 싶었는데 황교안 법무장관이 뺨을 때려준 격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다른 관점에서 이번 파문은 검찰 조직에 많은 과제를 안겨줬다는 시각도 있다. 김학의 전 법무 차관에 이어 검찰 구성원들의 사생활 문제에 다시 한 번 경종(警鐘)이 울렸고, 개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직을 동원하고 '정치권'을 끌어들이는 게 과연 바람직한지에 대한 진지한 반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검사장 출신의 한 변호사는 "채 총장이 그동안 왜 사실 확인을 뒤로하고 보도에 대한 정치적 배경을 계속 언급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면서 "보도가 사실이 아니면 감찰을 하든 말든 자리에 있어야지 왜 곧바로 사표를 냈겠느냐. 그는 그동안 물러날 타이밍을 보고 있었던 것"이라고 분석했다.